본문 바로가기

지식저장소/지식KIN

10진수의 단위

 

단위 이름 한자 지수 (10의 몇 제곱)

0
1
2
3
4
8
12
16
20
𥝱 (또는 值) 24
28
32
36
40
44
48
항하사 恒河沙 52
아승기 阿僧祇 56
나유타 那由他 60
불가사의 不可思議 64
무량대수 無量大數 68

📌 참고:

  • '억'부터는 4자리씩 증가: 만진법은 "만"을 기준으로 10⁴씩 커지므로, 억(10⁸), 조(10¹²), 경(10¹⁶)... 과 같이 4의 배수로 지수가 증가합니다.
  • 일부 고대 단위는 정확한 한자 표기가 다양하거나 이체자가 존재할 수 있습니다.
  • 세종대왕도 읽었다는 '산학서'에 등장하는 수 체계입니다.

 

지금 현재는 무량대수 까지 나와있지만 가면은 뭐 유리수 정수,무한대까지
점점 발전해서 수학에 흥미와 관심이 가겠지요..^^

 

'... 세종대왕이 읽었다는 산학책에는 일, 십, 백, 천, 만, 억, 조, 경, 해, 자, 양, 구, 간, 정, 재, 극, 항하사, 아승기, 나유타, 불가사의, 무량대수 등 1에서 10의 68제곱까지의 수가 나와 있다. 일, 십, 백, 천, 만 그리고 다음부터는 만단위로 이름이 바뀌기 때문에 '만진법'이라고 한다. '

따라서 이글을 바탕으로 생각해 보면 일(10의 0제곱), 십(10의 1제곱), 백(10의 2제곱), 천(10의 3제곱), 만(10의 4제곱), 억(10의 , 조(10의 12제곱), 경(10의 16제곱), 해(10의 20제곱), 자(10의 24제곱), 양(10의 28제곱), 구(10의 32제곱), 간(10의 36제곱), 정(10의 40제곱), 재(10의 44제곱), 극(10의 48제곱), 항하사(10의 52제곱), 아승기(10의 56제곱), 나유타(10의 60제곱), 불가사의(10의 64제곱), 무량대수(10의 68제곱) 이 됩니다. 따라서 질문하신 아승기는 10의 56제곱입니다.